선령 리스트 구현katok = ['다현', '정연', '쯔위', '사나', '지효']print(katok)['다현', '정연', '쯔위', '사나', '지효'] 빈칸 삽입katok.append(None)print(katok)['다현', '정연', '쯔위', '사나', '지효', None] 빈칸에 데이터 추가katok[5] = '모모'print(katok)['다현', '정연', '쯔위', '사나', '지효', '모모'] 빈칸 옮기기katok.append(None)katok[6] = katok[5]katok[5] = Noneprint(katok)['다현', '정연', '쯔위', '사나', '지효', None, '모모'] 배열을 이용한 선형 리스트의 일반 구현katok = []katok.append(None)..
파이썬/자료구조와 알고리즘
리스토 조작 함수myList = [30, 10, 20]print("현재 리스트: %s" % myList)#맨뒤에 항목 추가myList.append(40) print("append(40) 후의 리스트: %s" % myList)#맨뒤 항목 꺼내기print("pop()으로 추출한 값: %s" % myList.pop())print("pop()후의 리스트: %s" % myList)#항목 정렬myList.sort()print("sort()후의 리스트: %s" % myList)#항목 역순 정렬myList.reverse()print("reverse()후의 리스트: %s" % myList)#지정값 위치 반환print("20값의 위치: %d" % myList.index(20))#지정한 위치 값 삽입myList.inse..